안녕하세요, 저희 미생물학과 응용미생물학 연구실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본 연구실은 미생물의 특성과 기능을 산업적 응용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탐구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생물은 생물학적 변환, 효소 생산, 대사 경로 조작 등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미생물을 이용한 바이오프로세스 개발, 환경 정화, 생명공학적 제품 생산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예를 들어, 미생물을 활용하여 폐자원의 고부가가치 대사 물질 합성, 바이오 연료 생산 등 다양한 산업적 응용 가능성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실험실은 미생물학, 생화학, 분자생물학 등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미생물이 가진 잠재력을 산업적 혁신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학문적 도전과 실험적 성과를 통해, 산업계에서 필요한 바이오 기반 기술의 발전을 이끌어가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부경대학교 미생물학과 전용재
연구 분야 (Research Areas)
합성미생물학 및 대사공학
산업적으로 유용한 미생물 대사 네트워크를 설계 및 최적화하여 바이오 연료, 바이오 플라스틱(PHA) 및 고부가가치 대사산물 생산 연구를 수행합니다.
유전자 회로 및 합성 유전체
논리 게이트를 활용한 유전자 회로 설계 및 검증, CRISPR/Cas 및 Directed Evolution을 활용한 맞춤형 유전자 조절 시스템을 개발합니다.
바이오 시뮬레이션 및 시스템 생물학
COPASI, CellDesigner 등 시스템 생물학 도구를 활용한 대사 네트워크 및 유전자 회로 모델링, 데이터 기반의 미생물 최적화 전략을 연구합니다.
환경 및 산업 응용
바이오매스 전환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매스 전환 기술을 개발합니다 (예: 유청 기반 PHA 및 ectoine 생산, 미세조류 기반 색소 생산, ).
환경 정화
미생물을 활용한 환경 정화 및 바이오리메디에이션 연구를 수행합니다.
항미생물 소재
다양한 환경에서 분리한 미생물을 활용하여 병원성 미생물 제어, 항미생물 소재, 바이오의약품 소재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장비 및 연구 환경 (Facilities & Equipment)
우리 연구실은 HPLC, Fermenter 등 실험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COPASI, CellDesigner 등의 생물정보학 분석 도구를 활용합니다. 최적화된 실험실 환경과 공동 연구 공간을 제공합니다.
연구 성과 (Publications & Projects)
1
최근 논문
Strategic way for valorization of manure into chemicals and fuels (2021. 11. 01)
Valorization of carbon dioxide and waste (Derived from the site of Eutrophication) into syngas using a catalytic thermo-chemical platform (2021. 12. 01)
Direct conversion of Camellia japonica seed into biodiesel through non-catalytic transesterification (2021. 12. 01)
Functional use of CO2 to mitigate the formation of bisphenol A in catalytic pyrolysis of polycarbonate (2022. 02. 01)
Eukaryotic and prokaryotic microbiome profiles of incoming seawater treated with electrolytic mixed oxidants used in a land-based fish farm (2022. 02. 01)
Annealing temperature effect on the surface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nSe thin films (2022. 07. 01)
Virtuous utilization of carbon dioxide in pyrolysis of polylactic acid (2023. 06. 01)
해양 미생물에 의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생산의 최근 동향 (2023. 08. 01)
Hybridization of the thermo-chemical process of polyvinyl chloride in the production of bioethanol using horse hay (2023. 12. 01)
The Halophilic Bacterium Paracoccus haeundaensis for the Production of Poly(3-Hydroxybutyrate-co-3-Hydroxyvalerate) from Single Carbon Sources (2024. 01. 01)
A virtuous cycle for thermal treatment of polyvinyl chloride and fermentation of lignocellulosic biomass (2024. 05. 01)
Thermochemical valorisation of cattle manure into gaseous fuel and furfural-rich bio-oil (2024. 10. 01)
Thermo-chemical upcycling of cellulosic paper packaging waste into furfural and bio-fuel catalyst (2024. 10. 01)
Synergistic Effect of Polyglycerol and DMSO for Long-Term Cryopreservation of Stichococcus Species (2025. 01. 01)
2
특허 및 기술 이전
미세조류의 장기동결보존을 위한 생체친화성 폴리글리세롤 첨가제 (10-2024-0163315)
파라코커스 해운댄시스를 이용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의 생산방법 (10-2023-0100834)
신규한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 재조합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응집 개선 방법 (10-2021-0065307)
응용미생물학 실험실 졸업생 진로 현황
국립생물자원관 및 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원
- 석사 3
부산보건환경 연구원
- 석사 1
해양수산과학원 연구원
- 석사 1
기업체
- 학사 9
- 학사 1 (부산식품분석센터)
- 석사 2ㅡ
지원 및 참여 (Join Us)
대학원 및 학부 연구생 모집
우리 연구실에서는 열정적인 대학원생과 학부 연구생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합성생물학과 미생물공학에 관심 있는 분들의 지원을 환영합니다.
연구 협력 및 공동 연구
산학협력 및 타 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환영합니다.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해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